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웹툰 플랫폼 만들기 탑툰 같은 웹툰 플랫폼을 만들고 싶은데, 다녀야 할 학원이 뭔가요?

탑툰 같은 웹툰 플랫폼을 만들고 싶은데, 다녀야 할 학원이 뭔가요? java script나 파이썬 같은 학원 다녀야 하나요?
이 문제로 밤잠 설치셨을 것 같아요. 무엇을 배우고 어디서 시작할지 막막하죠.
결론부터 말할게요.
학원 이름보다 커리큘럼이 핵심입니다.
웹툰 플랫폼은 풀스택 역량이 필요해요.
프론트·백엔드·결제·배포까지요.
자바스크립트 트랙을 추천합니다.
현업 전개 속도와 채용 수요가 높아요.
왜 자바스크립트냐고요.
한 언어로 프론트와 백을 모두 커버해요.
React/Next로 화면과 SEO를 챙기고,
Node/Nest로 API와 권한을 설계합니다.
이미지 처리·업로드도 생태계가 좋아요.
CDN·캐시·썸네일 라이브러리도 풍부해요.
플랫폼에 꼭 들어가는 기능을 보죠.
작품 뷰어는 지연 로딩과 가로 스크롤,
워터마크·캡처 방지 같은 우회 장치,
작가 CMS와 회차 업로드 파이프라인,
유료 결제·구매 이력·정기결제,
JWT 인증과 소셜 로그인,
신고·차단·리뷰·등급 심의 모듈,
매출·유입 분석 대시보드가 필요해요.
이걸 배우려면 이런 흐름이 좋아요.
HTML/CSS로 반응형과 접근성을 익히고,
TypeScript로 안전한 코드를 쓰세요.
React/Next로 SSR·SEO·이미지 최적화,
Node/Nest로 REST/GraphQL 설계,
PostgreSQL·Redis로 데이터·캐시 운영,
S3+CloudFront 같은 CDN 구성,
OAuth·JWT·권한 레벨링을 설계하세요.
아임포트·토스·페이코 중 하나 붙이고,
Sentry·Datadog로 모니터링까지 묶으세요.
학원은 이 기준으로 고르세요.
팀 단위 실서비스를 끝까지 만드는지,
코드리뷰·배포·장애복구를 다루는지,
결제 연동과 보안 이슈를 가르치는지,
Git 이슈·PR 중심 협업을 하는지,
멘토가 현업 리드급인지 확인하세요.
포트폴리오는 “웹툰 실프로덕션”이어야 해요.
바로 실행 가능한 로드맵을 드릴게요.
1주차엔 JS/TS 문법과 Git를 끝내고,
2-3주차엔 React·Next로 뷰어를 만드세요.
가로/세로 스크롤과 지연 로딩을 구현해요.
4주차엔 업로드·썸네일 파이프라인,
5주차엔 회원·작가·관리자 권한 분리,
6주차엔 결제·구매 이력을 연결하고,
7주차엔 신고·차단·심의 기능을 넣고,
8주차엔 로그·모니터링·알람을 붙여요.
9-10주차엔 성능·보안 점검을 돌리고,
11~12주차엔 실사용 테스트를 진행해요.
테스터 10명으로 결제 샌드박스를 검증해요.
파이썬을 고민하신다면 이렇게 쓰세요.
FastAPI+Django ORM 조합을 권합니다.
작가 CMS는 Django admin으로 빠르게,
공개 API는 FastAPI로 가볍게 분리해요.
이미지 큐는 Celery+Redis로 처리하고,
Nginx로 리사이즈 캐싱을 앞단에 둡니다.
다만 프론트는 결국 React가 유리해요.
학원 병행이 부담되면 이 방법도 있어요.
부트캠프+개인 멘토 조합으로 가세요.
주당 1회 코드리뷰만 받아도 달라집니다.
핵심은 “프로덕트 완주” 경험이에요.
완성 URL·관리자 계정·로그 스크린샷,
이 세 가지가 면접에서 결정적이에요.
당장 쓰실 체크리스트 드립니다.
유료 회차 잠금이 동작하는가.
부분 미리보기와 프리패스가 되는가.
이미지 원본 유출을 줄였는가.
모바일 웹에서 3초 내 첫 렌더인가.
로깅으로 구매 오류를 추적할 수 있는가.
관리자가 회차 롤백을 즉시 할 수 있는가.
이 기준을 통과하면 서비스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비용 감각을 잡아볼게요.
초기 MVP는 월 10만~30만 원 수준,
S3·CDN·DB·모니터링 합산 기준입니다.
이미지 트래픽이 늘면 CDN이 관건이에요.
초반엔 캐시 정책으로 버텨보세요.
.
관련 개발 장비·도서 추천은 여기 확인해보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 채택 부탁드립니다.
*이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