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1 한국사 러일전쟁부터 조선 식민지화까지 전개 순서 러일전쟁부터 조선 식민지화까지 전개 과정헌정연구회 조직 -> 포츠머스 강화 조약

러일전쟁부터 조선 식민지화까지 전개 과정헌정연구회 조직 -> 포츠머스 강화 조약 -> 을사늑약 -> 을사의병 -> 대한 자강회 -> 정미의병 -> 한일 신협약 체결 -> 신민회 조직 -> 스티븐스 처단 -> 남한 대토벌 -> 이토 히로부미 처단 -> 한일 병합 조약 맞나요? 순서 틀린 부분 있으면 알려주세요..ㅠㅠ
네, 질문 주신 러일전쟁~조선 식민지화 전개 과정을 정리해 보면, 일부 순서가 조금 뒤섞여 있어요.
1️⃣ 사건별 연도 기준 정리
사건
연도
설명
러일전쟁
1904~1905
일본과 러시아가 한반도·만주 영향권 싸움
포츠머스 강화 조약
1905. 9
러일전쟁 끝, 일본의 한반도 우월권 인정
을사늑약
1905. 11
외교권 강탈, 대한제국 보호국화
대한 자강회 조직
1906
개혁과 자강 운동
을사의병
1905~1907
을사늑약 저항 의병
정미의병
1907~1909
고종퇴위·정미7조 반발 의병
신민회 조직
1907
민족운동 단체, 교육·산업·무장 준비
스티븐스 처단
1908
신민회 소속 의열단 활동, 일본 공사 암살 시도
이토 히로부미 처단
1909
안중근 의사, 하얼빈에서 이토 암살
한일 신협약(정미7조)
1907
고종퇴위, 군대 해산, 통감권 강화
남한 대토벌
1908
정미의병 진압, 일본군·헌병 작전
한일병합 조약
1910. 8
공식적 조선 식민지화
2️⃣ 순서 바로잡기
헌정연구회 조직 → 1906년 (자강회와 비슷한 시기, 헌정 연구회는 입헌 운동 성격)
포츠머스 강화 조약 → 1905. 9
을사늑약 → 1905. 11
을사의병 → 1905~1907
대한 자강회 조직 → 1906
정미의병 → 1907~1909
한일 신협약(정미7조) → 1907
신민회 조직 → 1907
스티븐스 처단 → 1908
남한 대토벌 → 1908
이토 히로부미 처단 → 1909
한일병합 조약 → 1910. 8
✅ 정리 포인트
“정미의병 → 한일 신협약 → 신민회 조직” 순서가 가장 헷갈리기 쉽습니다.
스티븐스 처단·남한대토벌·이토 히로부미 처단 사건은 정미의병 이후, 신민회 활동과 거의 동시에 발생합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