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공부 필기, 복습법. 안녕하세요. 한문공부 할 때 한문노트에 한문을 필기하잖아요.그거 몇 번 씩
안녕하세요. 한문공부 할 때 한문노트에 한문을 필기하잖아요.그거 몇 번 씩 쓰는게 좋을까요. 저 같은 경우에는 10번씩 쓰고 복습하거든요.그런데, 복습법에 대해서 체계적이기보다는 나름데로 고안한 방식이라...한문공부 복습법은 어떻게 되나요. 평일에는 직장일 때문에 한문공부 못 하고 주말에 하루에 7시간씩 공부할 예정이에요.
학습 목적, 학습조건, 에 따라 구체적일 수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한글 전용이고 공식 문서에 이름자 까지 한글로 씁니다.
꼭 한자를 외워 쓸수 있도록 학습하시는 특별한 목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에 따른 공부법으로 한자의 구조분석적 학습이 필요 합니다.
1차적으로 부수별 한자를 집중적으로 공부 하시면 부수(한자의 뜻) + 소리자로 나눌어
인식하고 재인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공부 하실 수 있습니다
한자는 뜻글이기 때문에 한자의 구성이 뜻을 의미하고 있어 구조에 동원된 한자들이 뜻을 만들고 있습니다 .
때문에 무조건 외우지 마시고 한자를 분해 (해자 )하시어 무슨 글자들로 만들어 졌나를 따지며 자신의 논리로 만들어 이해하면 암기는 물론 쓰는데도 편리합니다 .
특히 일본어는 우리나라의 한자를 생략하여 만든 약자를 많이 사용하므로 우리나라 한자를 알고 있으면 응용과 이해가 빠릅니다 .
다음은 한자의 구조에 대한 기초 중의 기초인데 원리를 알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이러한 방법으로 한자를 이해하는 습관을 기르는데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 더 나아가시고자 하시면 학문적으로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공부할 한자를 소리에 따라 정리하는데 .한자의 소리가 되는 한자를 나란히 하여 아래 방법으로 공부하시어 보시기 바랍니다 .
한자는 보통 부수와 소리 (성부 )로 짜여 있습니다 .
부수는 한자 의미의 종류가 되고 성부는 소리가 되고 부수를 설명하여 한자의 뜻을 완성합니다 .
과거는 부수를 중심으로 한자를 연구 ,공부를 하였고 현대는 한자의 성부 (소리 )를 중심으로 연구 ,공부를 합니다 .
부수가 木 (나무목 )이면 글자의 뜻이 나무와 관계가 있습니다 .
소리가 主 (주인주 )면 나무가 주인 (중요함 )이 된다는 의미로 기둥이란 한자가 됩니다 .
그러면 성부 (소리 )가 같으면서 부수가 다른 한자를 보면
그 소리 한자가 부수를 설명하여 한자의 뜻을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똑 같 부수인데 한자의 뜻이 다른 것은 성부 (소리부분 )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火 (불화 ) +主 (주인주 )---炷 불꽃 (심지 )주
人 (사람인 ) +主 (주인주 )---住 (살주 )
氵 (물수 ) +主 (주인주 )---注 (물댈주 )
木 (나무목 ) +主 (주인주 )---柱 기둥주
言 (말씀언 ) +主 (주인주 )---註 (주낼주 )-말로 설명하다 .
馬 (말마 ) +主 (주인주 )--- (말머무를주 )
앞의 부수는 뜻의 종류이고 뒤의 소리가 되는 主 자는 말 (馬 )의 부수가 하고 있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글자의 구조를 분해하여 익히면 보다 쉽게 될 것이며 머리로 사고하는 힘이 길러져 처음은 늦은 것 같으나
-----------------------------------
다음 각 단체 홈페지에 들어 가시면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시면 방향, 방법등을
다음 단체 국가 공인 급수 시행단체(사단법인)입니다.
대한검정회(https://www.hanja.ne.kr/jupsu/jupsu07.asp) .https://www.hanja.ne.kr/jupsu/jupsu07.asp
한자교육진흥회(www.hanja114.org)
한국평생교육평가원(www.kpe.or.kr)
상공회:(http://license.korcham.net)
다음 한자를 먼저 외워 읽기능력을 높이기 위한 공부 밥법은
아래 암기 요령을 참고 하실수 있습니다.

--------------------------
부분적이고 구체적으로 1;1로 질문주시면 답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