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 보통 수동 기능시험 조작 다하고출발할때 1단으로 놨다고 생각했는데시동이 꺼지더라구요 ㅠ진짜 계속 왼쪽으로 당겼는데도
조작 다하고출발할때 1단으로 놨다고 생각했는데시동이 꺼지더라구요 ㅠ진짜 계속 왼쪽으로 당겼는데도 그게 최대라 그냥 올렸는데 3단이 되었나봐요 (클러치 잘 안밟혀서 그런건가요?)그리고 가속 구간애서 2->3 할때도 힘을 많이주니 2->5로 가더라구요 기어 조작 감을 잡는 법을 알수있을까요?
변속기 오른쪽 손에 힘을 많이 주면(초보단계에서) 내가 원하는 기어가 안나올 수 있어서, 꼭 이렇게 하라는 건 아니지만, 손바닥으로 가볍게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크게 힘이 안들어갑니다.
1. 기어를 변속할 때 항상 클러치 밟고 중립에 기어를 위치시킨 다음 내가 원하는 기어위치로 옮기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2단에서 3단으로 기어를 변속시킬 때 기어를 2단에서 중립위치로 놓았다가 3단으로 이동시키는 거죠. 2단에서 바로 3단으로가는게 아니고, 중간에 중립위치로 놓고 3단으로 가는겁니다.
2. 기어봉을 움직일때는 오른손으로 꾹 잡는게 아니라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위로 퉁 올리면 중립위치로 자자동으로 가고, 바로 손바닥으로 위로 올리면 3단이 되어버리죠. 바로 아래에 4단이 있잖아요? 바로 4단으로 갈 때도 바로 밑으로 내리면 4단이 되지만, 중립에 일단 놨다가 4단으로 갈 때 엄지와 약지를 제외한 나머지 가운데 3개의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내리면 4단으로 갑니다.
3. 5단으로 이동시에도 손바닥으로 중립으로 밀어 올려주고, 엄지손가락으로 기어봉옆에 대고우측으로 밀고, 손바닥으로 위로 올리면 5단이 되죠. 군대에서 육군, 해군, 공군 상관없이 필승이든 충성이든 구호를 할 때 바로 손을 올리면서 필승. 충성. 이러는건 쫌 짬이 차야 바로 올리지만, 이등병때는 구분동작으로 필 하고 나서 손을 올리면서 승. 이러고, 충 하고 나서 손을 올리면서 성. 이럽니다. 왜 이런 말을 하냐면 각 단으로 기어를 움직일 때 중립위치로 항상 위치하고 나서 기어를 움직이면, 즉 탁탁.탁탁. 이렇게 기어움직임을 구분지으면 쉽게 내가 원하는 기어로 위치할 수 있다는 걸 설명하려고 한겁니다. 제가 98년도에 보통면허 취득할 때는 교관님한테 많이 혼나면서 배웠는데 그때, 초보자이기 때문에 기어를 구분지어서 하라고 했습니다. 그럼 기어를 잘못 놓는 일은 거의 없다고 했는데 실제로도 기어를 잘못 놓지 않았습니다.
4. 또한 기어를 습관적으로 오른손과 붙어 있다고 생각하고 끈다? 끌다? 어떻게 표현해야하는지 모르겠네..태극권 영화보면 손을 이리저리 휘두르는데 이게 이어져있는 것처럼 휘두르죠? 그렇게 기어봉을 흘러가는 것처럼 움직이되, 순서를 위에 말한것처럼 탁탁 구분지어서 하면 쉽게 기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구분지어서 하라는 것을 어느새 잊어버리고 자연스레 기어를 움직이게 될 겁니다.
5. 예전에 대형트럭, 트레일러, 17톤, 5톤, 1톤 등등의 트럭을 직업으로 몰면서 돈을 벌었는데, 17년도부터는 그냥 경비업에서 사무실, 입초근무만 하면서 돈 버는게 더 쉽고, 운전하는게 싫더라구요. 아마 정년이 도래하면 그때서야 운전하는 것으로 먹고 살수 있을 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면허는 따놓는게 좋겠죠? 추천코스로는 보통면허 취득 후 1년이 지나면 대형면허(한..50만원 들었는데 지금은 모르겠네요), 트레일러면허(감만 잡으면 금방 땁니다. 이거도 한.50만원), 지게차3톤이상자격증(취득후 조종면허 발급) 이 정도만 따놔도 앤간한 운전으로 먹고 사는데는 다 들어갈 수 있어요. 지게차3톤이상 자격증은 국가지원학원에서 취득하기 쉽습니다. 물론 실기 존니 어려움..왜 이걸 따놔야 하냐면, 직장 다니면서 절대로 학원갈 수 없거든요. 최대한 학교다닐 때 따놓거나, 취업하기 전에 따놔야 합니다. 이럼 나중에 버스면허, 택시면허, 화물운송업 등에 취업하기 편해요. 참고로 버스면허, 택시면허, 일반 화물운송은 적격성시험통과하면 바로 면허를 주기 때문에 수동면허가 필수입니다.
결론 : 기어를 움직일 때 구분동작으로 움직이면 쉽게 이동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