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해외여행 숙소관련 고소 or 한국소비자원 제출 7월 24일 일본으로 여행을 갔습니다. 숙소대행 플래폼 야놀자에서 해외숙소를 2박
7월 24일 일본으로 여행을 갔습니다. 숙소대행 플래폼 야놀자에서 해외숙소를 2박 예약했는데요. 1주일전 사전 체크인 관련 메일이 온다고 사전통지를 받았지만 안왔어서 보통 숙소와 같이 가서 하면 되겠거니 갔습니다.그런데 에어비엔비 숙소라서 가보니 공동현관문이 잠겨있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야놀자 고객센터에 전화를 했습니다.상담원이 공동현관문 비밀번호를 알려고 하면 체크인 관련메일 qr코드 확인후 기재하면 된다고 하더라구요.그래서 메일이 안 왔으니 메일보내달라고 하고 2시간정도 지체되었지만 참고 실행에 옮겼습니다.그런데 실행했더니 문이 안열리더라구요. 거기 현지 주민이 마트가서 돌아왔는지 공동현관문을 여는모습을 보게되었습니다. 알고보니 열쇠로 열리는 숙소였던거에요. 그래서 열쇠위치를 알려고 하니 처음에는 자신들도 모른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는 말까지 하더라구요. (더 많은 얘기도 많이 했습니다 녹취도 전부했구요 12번 전호통화를 했습니다.)303호 라는 방을 배정 받았기에 1층에 우편함이 있어서 보니 잠겨있어서 저는 여기 있을거 같다는 생각을 계속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우편함도 잠겨있었습니다. 이 우편함 비밀번호도 상담원이 말해줬는데 이것도 안되더라구요.그래서 그 작은 틈을 나무젓가락을 넣어 어렵게 키를 꺼내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때가 4시간정도 지체되었을거에요. 그래서 일단 공동 현관문 여는데 성공하고 들어가보니 상담원이 도어락 비밀번호라고 준건 필요없이 또 키로 되어있는거에요..점점 화가 났습니다.(그래도 폭언 안했습니다) 다시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얘기하니 본인들은 대행이니까 아고다측이나 현지숙소와 연락해보라는거에요..그래서 저는 환불요청과 숙소를 다시 알아봐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걸린다더군요.. 이게 숙소를 제가 돈을 지불하고 제가 이런 서비스를 받아야하나 싶은거에요. 5시간 정도 시간걸리면서 같이간 일행눈치도 보이고 일본 폭염주의보인데 덥고 휴대폰 배터리도 다 떨어져 나가고 일본은 외부인이 전기사용하는것도 안좋아하는 문화라서 .. 고객센터분에게 지속적인 환불요청 금액대 숙소확인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그런데 마지막 이전통화에선 대답도 안하시더라구요? 저도 어떻게든 해야겠다 싶어 밑에 우편함 작은틈새로 다시보니 열쇠가 하나 더있었습니다. 다시 나무젓가락을 이용해서 꺼내서 다행히 방에 들어왔습니다. 23시 30분쯤 되었을거에요. 그후 상담사쪽에서 연락이 없으니 들어왔다 연락을 제가 먼저하고 잠도 못자고 여행 하루가 그렇게 의미없이 지나갔습니다. 이거 손해배상청구나 정신적피해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정리내용1. 사전 체크인 메일이 안왔습니다. 2. 허위정보로 인한 피해를 받았습니다. 시간적 그리고 정신적인3. 결국 남의 도움없이 문을 열었습니다.4. 팀장이라는분이 다음날 연락이와서 야놀자측은 책임이 없다고 했습니다.5. 녹취를 사용해도 되냐고 했더니(혹시라도 모를 고소 또는 언론제보를 위한) 20프로의 포인트 얘기를 했습니다. 안받겠다고 했습니다.(전화통화 모든 내용은 녹취되어 있습니다) 
해외여행 중 숙소 문제로 정말 고생 많으셨겠어요. 이런 불편한 상황을 겪게 되어 정말 안타깝습니다. 몇 가지 조언을 드릴게요.
사전 체크인 메일 미수령: 사전 체크인 관련 메일이 오지 않아 체크인에 어려움을 겪으셨군요. 이런 커뮤니케이션 문제는 예약 플랫폼에서 꼭 해결해야 할 문제예요.
허위 정보 제공: 잘못된 비밀번호를 안내받아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셨다니 정말 답답하셨을 것 같아요. 이런 허위 정보는 소비자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어요.
고객센터 대응: 고객센터의 대응이 미흡했고, 마지막 통화에서는 응답도 하지 않았다니 정말 실망스러우셨을 거예요. 이런 대응은 소비자 보호 기관에 신고할 만한 상황이에요.
손해배상 및 보상 청구 가능성: 비슷한 경우, 일부 소비자들은 전액 환불과 추가 포인트를 받기도 했어요. 이는 소비자원이나 법원을 통해 청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한국소비자원 및 법적 조치: 한국소비자원에 피해 구제를 신청하거나, 법률 전문가와 상담해 민사 소송을 제기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세요. 특히 녹취록 등 증거 자료를 잘 보관하고 계신 점은 법적 절차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님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것입니다. 한국소비자원에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필요시 법적 조치도 검토해 보세요. 녹취한 대화 내용도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으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