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학교 삼수 사관학교를 고3 초반에 알게 되었습니다 현역때는 준비되지 않은 실력에서 성급하게
사관학교를 고3 초반에 알게 되었습니다 현역때는 준비되지 않은 실력에서 성급하게 시험을 보게 되어서 당연하게도 불합격을 했습니다 그후 수능으로 진학하지 않고 쌩재수를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기대했던 국어 영어에서 다 20점씩 떨어지면서 또 사관학교와는 멀어지게 되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삼수가 고민이 됩니다 마음만은 삼수해서라도 꼭 가고 싶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삼수를 결정한다는 게 부모님께 짐을 더 얹어드리는 기분이고 삼수를 한다고 해서 붙을 거라는 확신도 없습니다고등학교 내내 자연계열로 지내다가 재수를 결심하면서 사관학교만을 보고 인문으로 전향했습니다 사관학교에 최종적으로 불합격을 하게 된다면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인문계열로 어디를 가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더군다나 교육과정 개정으로 제가 배운 것들로는 내년까지가 사관시험이든 수능이든 다 마지막이라고 합니다어떻게 해야 좋을 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한심하게만 느껴지는 제 자신을 믿고 삼수를 하는 게 옳은 선택일까요
당신이 처한 상황은 매우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있습니다. 다음의 핵심 포인트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목표와 꿈의 명확성**: 사관학교를 꼭 가고자 하는 강한 열망이 있다면, 삼수 결심이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준비와 자신감이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도전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현실적 대안 검토**: 삼수 실패 시 인문계열 대학으로의 전향이 불가피하다면, 관심 있는 전공과 직업 목표를 다시 정리하세요. 현재 배운 것을 토대로 적성에 맞는 곳을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
3. **학습 계획과 준비상황**: 재수하는 동안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패를 반복하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준비하세요.
4. **경제적/심리적 부담 고려**: 삼수로 인한 가족과 본인에 대한 부담, 특히 부모님께 끼치는 영향을 깊게 생각하세요. 본인의 목표와 가치를 재평가하는 시간도 필요합니다.
5. **대안 모색**: 사관학교 목표를 포기하지 않더라도, 우선 수능이나 다른 시험에서 최소 성과를 내기 위한 안정적 계획을 세우고, 동시에 사관학교 도전을 병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6. **전문가 상담**: 신뢰할 수 있는 진로 상담사 또는 멘토와 상담하여 객관적인 의견을 듣고, 신중하게 결정을 내리세요.
**요약**: 자신이 정말 사관학교를 가고 싶은 강한 열망이 있고, 그 목표를 위해 충분히 준비할 수 있다면 삼수를 도전하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패 후 인생의 다른 전도도 고려하면서 현실적인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무리한 선택보다는 차분히 자신의 상황을 평가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