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공대 전망 저는 고2이고 수시버리고 정시인데도 평소에 생기부 목적이 아닌 순수 재미로
저는 고2이고 수시버리고 정시인데도 평소에 생기부 목적이 아닌 순수 재미로 물리학 책 같은거 자주 볼 정도로 물리랑 수학을 좋아합니다. 그래도 수학과나 물리학과 가면 취업이 안 될거 같아서 공대를 가려고 하는데, 요즘 공대 전망 안 좋다는 말이 있던데 그래도 이공계에서 다른 과들보다 공대가 가장 취업 잘 되지 않나요? 공대 전망 알려주시고, 공대 중에서도 어떤 과에 전망이 좋은지 알려주세요.
공대 전망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 다소 불안한 이야기도 있지만, 잘 준비하면 충분히 좋은 결과 낼 수 있으니 차근차근 읽어보세요
1. 요즘 ‘공대 전망이 나쁘다’는 오해
· 일부 게시판에선 “공대 취업 사기 소리 들릴 정도로 힘들다”는 걱정도 있지만 실제로는 과와 대학, 개인 역량에 따라 편차가 큽니다
· 국공립 및 상위 사립대 공대 평균 **취업률은 약 78%**로 전체 계열 중 가장 높아요
2. 최근 공대 학과별 취업 트렌드
· 특히 전자·전기·화학공학과 **컴퓨터공학(소프트웨어)**은 꾸준히 수요가 있어 취업 강세입니다.
· 반도체, AI, 로봇 등 첨단 산업 분야와 밀접해 ‘전통 공대’ 중에서도 수요가 탄탄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3. ️ 각 종 공대 학과 전망 비교
학과
전망 요약
전자공학 / 전기공학
전산·통신·반도체 등 유지 수요 높음
컴퓨터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AI·SW 중심 산업 성장과 함께 꾸준한 인기
화학공학 / 생명공학
이차전지·바이오 등 신산업 맞물려 수요 증가
기계공학 / 토목공학
전통 제조업·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아직 수요 존재하나 구조조정 중
4. 제대로 준비하려면
· 학벌보다 실력! 상위권 대학이라도 학점과 스펙(인턴, 프로젝트 등)이 뒷받침되어야 기회가 많아요
· 대학원 진학을 포함한 진로 계획도 중요합니다. 특히 연구직이나 전문 엔지니어를 목표로 한다면 대학원이나 해외 유학 루트도 고려해두는 게 좋아요
5. ✅ 정리 & 추천
· 전반적으로 공대는 취업률 좋은 편, 그러나 학과와 개인 역량에 따라 다름
· 앞으로 유망한 학과: 전기전자·컴공·화학공학·생명공학
· 기계·토목도 여전히 필요하지만 경쟁력 확보는 필수
· 핵심은 ‘맞는 학과와 실력 개발’, 학벌보다는 실무 능력과 전문성이 중요
✈️ 마무리 조언
· 물리∙수학 좋아하시는 만큼, 컴공이나 전기전자공학은 적성에도 잘 맞을 것 같아요!
· 진로 방향(연구직 vs 실무 엔지니어 vs SW 개발 등)에 따라 대학원 진학, 인턴, 프로젝트 경험도 초반부터 계획해보세요.
· 공대에서는 “자신에게 맞는 분야에서 꾸준히 역량 쌓기”가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더 알고 싶은 학과별 커리어, 대학별 특성 등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멋진 공대 진로 이루시길 응원합니다